본문 바로가기

Python15

[Python] 파이썬 - 17. __inti__과 __call__의 차이 1. __init__: 객체 초기화 메서드객체가 생성될 때(__new__ 호출 후) 자동으로 실행된다.주로 인스턴스 변수 초기화에 사용됩니다.return값이 없어 None을 반환한다. class Example: def __init__(self, name): print(f"__init__ 호출: {name}") self.name = nameobj = Example("michael") # 객체 생성 시 __init__ 호출# 출력: __init__ 호출: michael  2. __call__: 객체를 함수처럼 호출 가능하게 만드는 메서드인스턴스가 함수처럼 사용될 때 실행된다 __call__을 정의하면 객체를 마치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 class Example: de.. 2025. 3. 29.
[Python] 파이썬 - 15. is와 == dml 차이 파이썬에서 동일한 것을 비교하는 구문은 두 가지가 있다. 등호가 두 개 붙어있는 연산자 '=='와 파이썬 만의 고유 문법인 'is'가 존재한다.보통 둘은 구분을 하지 않고 사용한다. 그럼, 이 두 연산자는 아무런 차이가 없을까? 다음 코드를 보자. is: 두 객체의 메모리 주소가 같은지 (즉, 같은 객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a is b는 a와 b가 같은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지 확인합니다.- is 연산자는 동일 객체 참조 여부를 검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참조 여부값까지 동일해야한다. ==: 두 객체의 값이 같은지 확인한다.-  a == b는 a와 b의 값이 동일한지를 비교합니다.- == 연산자는 객체의 내용(값)을 비교합니다.- A와 B의 참조값(메모리주소)의 동일 여부와는 상관없이 .. 2024. 11. 24.
[Python] 파이썬 - 14. 튜플(Tuple) Tuple이란 Tuple은 리스트와 굉장히 유사하게 사용된다. 리스트가 []를 사용한다면 튜플(Tuple)은 ()을 사용한다.그리고 순서의 변경, 중복된 값에 대해선 허용하지만, 생성된 Tuple에 대해서 수정, 삭제하는것은 불가능 하다는 것이 List와의 큰 차이점이다tu = (1, 2, 3, 4, 3, 2, 1, 0)print(tu, type(tu)) 만약 Tuple을 삭제하거나 수정하려한다면 아래와같은 에러가 발생하는것을 볼 수있다.del tu[0]# TypeError: 'tuple' object doesn't support item deletiontu[1] = 5# TypeError: 'tuple'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Example리스트와 마찬가지.. 2024. 6. 5.
[Python] 파이썬 - 13. 리스트활용(2) 1. index() 해당하는 값이 리스트에 몇번째에 위치하는지 출력해준다. ,를 사용하여 x.index(3, 4)를 입력한다면 리스트 값 3을 4번째 수부터 검색하라는 의미이다. 2. count() count()는 해당하는 값이 리스트에 몇개 들어있는지 카운팅하는 것을 의미한다. 3. sort()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해준다. reverse=True 를 활용하면 역순으로 정렬이 가능해진다. 단순히 reverse() 메소드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4. split() 제시된 매개인자를 기준으로 단어를 나누어 리스트로 변환하여 출력해준다. 5. join() split()과는 반대로 리스트의 요소들을 매개인자를 기준으로 합쳐준다. Index로 돌아가기 2023. 12. 3.
[Python] 파이썬 - 12. 리스트활용(1) 리스트끼리는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스트의 가장 뒤에 추가로 입력시켜준다. 아래와 같은 응용도 가능하다. 같은 방법으로는 extend()가 있다. 2. insert() insert()를 활용하면 원하는 위치에 요소를 삽입할 수 있다. 3. pop() pop()은 리스트의 제일 마지막 요소를 꺼내고 삭제시킨다. 괄호안에 인덱스를 받아 해당 인덱스의 요소를 삭제시킬수도 있다. 4. del() 해당하는 인덱스의 요소를 바로 삭제한다. 리스트 변수를 입력시 해당 리스트를 삭제한다. 5. remove() 앞에서 부터 해당하는 값을 찾아 지워준다 Index로 돌아가기 2023. 11. 26.
[Python] 파이썬 - 11. 리스트(List) 리스트란 아래와 같이 숫자나 문자들을 배열로서 출력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리스트 역시 인덱스를 통하여 원하는 값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list('')안에 있는 매개인자들은 한 글자를 각각 리스트로 담아 출력하기도 한다. 또한 리스트가 1 ~ 10까지 있을때 :: 을 활용하여 홀수번째 인덱스 또는 짝수번째 인덱스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스트는 아래처럼 이중 리스트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x의 0번째 인덱스는 [1, 2, 3]을 의미한다. 이 경우 x 인덱스의 리스트 내부의 리스트 요소를 따로 출력하려면 이중 배열을 활용하면 된다. ​리스트는 문자열과 다르게 인덱스에 새로운 변수를 넣는 것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히려 한글자가 아닌 지정된 블록 전체를 바꿀 수 있기도 .. 2023. 9. 23.